본문 바로가기
관심사/독서

인생의 의미 (토마스 힌란드 에릭센 지음)

by 고고 뜌지 2025. 1. 20.

 

7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인생의 의미'에서 나의 마음에 닿았던 주제는 관계 와 느린시간 이었다.

 

"관계"

 

관계는 사회적인 인간에게는 땔 수 없는 요소이다.

직장생활과 가정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부분이고 이를 통해 행복과 불행을 느끼기도 한다.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려면 권리와 의무가 가득 찬 친밀한 관계가 필요하다."

 

관계 장의 책장을 넘길 때 한 페이지를 차지한 문구였다. 권리는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할 때 정당성을 심어주는 단어이지만 의무는 사람이 판단을 내릴 때 윤리적관점에서 제재하여 도덕적으로 나아가게 하는 단어이다.

의무에 관해 생각할 때는 사람들은 부담을 느낀다.

군대 입영, 부모의 의무, 자식의 의무 등 에 대해 사람은 쉽게 긍정하지 않고 많은 고민과 함께 판단한다. 고민의 과정에서는 도망치고 싶은 마음도 번번이 올라온다.

 

.내가 어렸을 때 나는 어떻게 자랐는가?

나도 자라남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의무를 지어줬기에 클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의무는 타인을 위해서는 필요한 요소이고 또 나를 지켜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해당 장에서는 혼자 사는 삶에 대해 "다른 사람을 위해 자기를 버릴 필요가 없는 사람은 용서와 겸손, 감사의 능력이 온전한 사람이 될 수 없다" 라고 표현하였다.

이에 나는 관계는 삶의 편한 관점보다는 타인과 함께 어울려 함께 나아가는 관점으로 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관계에서 오는 요소는 내가 온전한 생활을 누릴 때는 나의 앞을 막는 것 같지만 내가 약해져 있을 때 내가 믿을 수 있는 유일한 동아줄일 것이다.

자신을 버리는 경험을 한 사람은 어떤 삶을 살더라도 충실하게 그 삶을 살아갈 것이고 내면의 힘으로 인해 상황을 이겨나가는 힘을 얻을 것이다.

이에 타인의 행복과 나의 행복을 위해서는 서로 관계와 의무로 이루어져 같이 나아가는 것이 내가 지향해야 하는 삶임을 생각한다.

 

"느린 시간"

 

급박한 순간이 다가오면 그 순간이 세상 전체처럼 보이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

이때 나의 가치관, 방향성보다는 그 순간의 해결이 더 중요해 보이고 이것을 안 하면은 안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때 나는 상황에 쫓겨 판단을 내려 후에 후회한 일이 종종있다.

 

이와같이 앞으로 나의 삶속에서 숲보다 나무에 치중되어 결정하게될 상황은 무엇일까?

청소년기 자식들을 키울때 부모가 아이보다 성적에 좌지우지 되는 상황? 부모님의 재산으로 인항 형제싸움?

앞으로 인생 생애주기 속에서 어떤 상황이 오게될지는 나는 알 수 없지만 삶에 잦게 갖는 느린시간을  통한 자아성찰은 내가 나다울수있는 힘을 키울수 있는 시간이라는 생각이든다. 

댓글